SW인증
- 홈화면 돌아가기
- 시험성적서·인증
- SW인증
신청기업의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을 보증합니다.
KOLAS 인정기관이 테스트한 신뢰성 높은 SW인증!
ISO/IEC/IEEE 29119기반 세계 최초 인증기관인 SW인증컨소시엄에서 제공합니다.
SW인증이란?
소프트웨어(SW) 제품을 ISO/IEC/IEEE 29119 표준에 따라 테스트하고 인증 기준에 준하는 제품에 "SW인증컨소시엄"이 인증을 부여하는
서비스입니다.
KOLAS 인정을 받은 동의대학교 부산IT융합부품연구소가 테스트를 진행해 성적서도 함께 제공함으로 신뢰성 있는 SW인증을 보장합니다.
SW인증 혜택
- 경쟁 차별화 및 홍보/마케팅 효과
- 인증 취득(SW인증서 및 시험성적서 발행)으로 제안 입찰 시 경쟁 차별화 포인트 역할 및 기업의 홍보/마케팅 효과
- 제품 품질 향상
- 엄격한 인증 기준 충족으로 SW 제품의 높은 품질 향상
- 낮은 제품 리스크 수준 보장
- 표준적 테스트 실무 역량 향상
- 테스팅 전략/기술/기법 활용에 대한 전 과정 현황 공유
- 테스트 자산(테스트 평가 계획서/결함 리포트/테스트 결과서) 습득
SW인증 진행 절차
- 신청 및 접수
- 기업 미팅
(심사 절차 논의) - 평가 수행 및
보고서 작성 - 인증서 발부
SW인증 기준
- 커버리지 충족 여부
- 결함 검출 추이
- 결함 밀도
SW인증 평가 프로세스
평가팀장 1인, 평가원 2인 이상(총 3인 이상)으로 구성된 평가팀이 ISO/IEC/IEEE 29119에 근거해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테스트 계획
테스트 모니터링&제어
테스트 종료
테스트 설계&구현
테스트 환경 구현&유지
테스트 실행
인시던트 보고
- 정황 이해
- 리스크 식별/분석
- 테스트 전략 정의
- 테스트 계획서 작성/승인
- 테스트 진척 모니터링
- 종료 기준 평가
- 테스트 제어(이슈 대응)
- 테스트 결과 정리
- 테스트 환경 정리
- 테스트 이슈 공유(회고)
- 테스트 베이스 리뷰
- 기본 테스트 케이스 맵핑
- 테스트 케이스 추가
- 테스트 환경 구현
- 테스트 환경 유지
- 테스트 실행 및 결과 기록
- 결과 비교(예상/기대 결과)
- 인시던트 리뷰
- 인시던트 보고
주요 사업 실적
-
글로비트
미래해양산업기술개발 품질 검증 -
㈜비젼하이텍
카메라운영 임베디드 SW -
㈜글로벌코딩연구소
실시간으로 재배작물의 정보 및
거래가 가능한 스마트팜 솔루션
언론보도
비젼하이텍, 올해 1호
SW인증 취득. SW인증 관심↑
SW인증은 타 인증에 비해 짧은 발급 기간과 낮은 인증 비용, 국제 표준 인증 기준 준수라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기업은 인증 취득 가능성에 막연한 두려움으로 신청을 주저했다.
국내 1호 SW인증 취득,
제주지역 IT기업 글로비트
SW인증은 ISO/IEC/IEEE 29119 표준을 준수해 평가한다. 결함 밀도, 커버리지, 결함 발견 추이 등 기준을 만족했을 때 인증을 부여한다. 글로비트는 SW인증컨소시엄 참여사인 STA테스팅...
SW테스트 시험기관 참여로
`SW 인증 서비스' 탄력
STA테스팅컨설팅은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가 SW테스트 시험기관으로 인정한 동의대학교 부산IT융합부품연구소가 SW인증 평가 업무에 참여한다고 27일 밝혔다.
자주하는 질문
우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ISO/IEC/IEEE 29119 표준에 따라 소프트웨어 제품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인증 여부를 판단합니다. 그리고, 세계 최초의 SW인증 컨소시엄이 인증을 부여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SW테스팅 국제 표준 최초 제안자(ISO/IEC/IEEE 29119 의장인 Stuart Reid 박사)가 본 인증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해 실무적 활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대기 시간이 매우 짧고 인증 비용 또한 저렴합니다. 무엇보다 ISO/IEC/IEEE 29119 표준을 기반으로 한 인증 평가 절차를
인증 수요기업이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ISO/IEC/IEE 29119에 근거해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로 결함 밀도(리스크와 결함 심각도를 고려한 종합적 관점),
결함 검출 추이(S 커브), 커버리지 충족 여부를 인증 기준으로 합니다.
인증 등급, 즉 Criticality는 제품의 위험도에 따라 High, Medium, Low로 구분됩니다.
인증 수요 기업이 실제적으로 요구하는 테스팅 활동에 대한 노하우 전수 및 기업의 테스팅 기술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테스트 전략, 기술, 기법 활용에 대한 전 과정이 기업에 오픈되며, 인증 이후 기업의 TC 활용 및 테스트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테스트(평가) 계획서, 결함리포트, 테스트 결과보고서 등입니다. 특히, 테스트 결과보고서의 결과 내용은 기업이 실무 테스팅
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추가로 테스트 관리 시스템의 해당 테스트 결과 및 결함 정보에 접근할 있는 권한 또한 제공하여 테스트 설계 내용 및 실행 결과가 실시간 공유됩니다.
문의
- 070-7864-7716
- swcerti@sta.co.kr
회신 가능한 연락처와 함께 문의내용 보내주시면 빠른 시일 내에 연락드리겠습니다.